
초고령사회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%를 초과하는 사회를 말합니다.
세계보건기구(WHO)의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:
고령화 사회: 노인 인구 비율 7% 이상
고령사회: 14% 이상
초고령사회: 20% 이상
2025년이면 한국은 공식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됩니다. 그런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이 기준을 초과했습니다. 예: 전남 고흥군, 경북 의성군 등은 노인 인구가 40%를 넘기도 합니다.
📉 주요 원인
출산율 급감
2024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약 0.7명 이하로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.
의료기술 발달과 평균 수명 증가
평균 수명은 현재 약 83세로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.
젊은 인구 감소
청년 세대의 인구가 급감하면서 고령 인구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습니다.
🧓 노인 돌봄의 위기
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은 다양한 사회적 위기를 동반합니다:
- 돌봄 인력 부족
요양보호사, 간병인 수요는 증가하는데 공급은 부족합니다.
저임금과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력 유입이 어렵습니다. - 독거노인 증가
자녀와 떨어져 홀로 사는 노인이 많아지며 사회적 고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.
고독사 문제도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. - 노인빈곤
한국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최고 수준(40% 이상)입니다.
연금 수급자 비율은 낮고, 생계형 노인 노동이 많습니다. - 치매 및 건강관리
치매 유병률 증가에 따라 장기요양보험 수요 급증
병원 및 요양시설의 포화 상태
🏛️ 정부 및 사회의 대응
✔️ 정부 정책
커뮤니티케어: 노인이 병원·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하도록 지원
장기요양보험 확대: 치매,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한 재정지원 강화
노인 일자리 사업: 노인의 사회 참여 및 소득 보전 지원
✔️ 민간 및 지자체 노력
실버타운·노인 돌봄 센터 확대
AI 기반 고독사 예방 시스템 도입
자원봉사 네트워크 활성화
🔍 향후 과제
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 구축
노인복지 재정의 안정적 확보
젊은 세대의 부담 완화 및 세대 간 연대
기술 기반 돌봄 혁신 (예: 로봇 간병, 원격 의료)
답글 남기기